광주시, 가계긴급생계비 1005억원 지원
- 신청가구 52만8천여 가구 중 29만1522가구 대상 확정
- 1~2인 가구 전체 61.1% 차지…가구당 평균 34만5000원
- 이의신청가구 조속히 심사…찾아가는 교부 서비스 등 시행
○ 광주광역시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위기 극복을 위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저소득가구를 대상으로 추진한 가계긴급생계비 지원사업 신청가구에 대한 심사작업을 완료했다.
○ 광주시는 지난 4월1일부터 5월8일까지 온·오프라인으로 지원을 신청한 52만8417가구에 대해 심사작업을 진행하고 중복신청이나 제외대상 등 7만8826가구의 오류신청 건을 제외한 44만9591가구에 대해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활용한 소득조회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29만1522가구(64.8%)에 대해 1005억8180만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 또 15만8069가구(35.2%)는 부적합 처리했다.
○ 지원결정가구를 가구원수별로 보면 30만원이 지원되는 1~2인 가구가 17만8284가구로 전체의 61.1%를 차지했으며, 3~4인 가구(40만원) 9만5224가구(32.7%), 5인 이상(50만원) 1만8014가구(6.2%) 등이었다. 가구당 평균 생계비 지원액은 34만5000원이다.
○ 광주시는 현재까지 지원결정가구의 96.8%인 28만2084가구에 970억3900만원의 광주상생카드를 교부했으며, 27일까지 753억2900만원(77.6%)이 지역 내에서 이미 소비돼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골목상권 살리기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파악했다.
○ 이 밖에도 소득조회 결과 부적합판정을 받은 가구 중 최근 휴·폐업이나 실직 등에 따른 소득감소를 이유로 이의신청을 접수한 가구는 29일 기준으로 7350가구에 달했으며, 이에 대한 이의신청 심사 결과 5734가구가 지원대상에 선정됐으며, 738가구는 부적합 처리됐다.
○ 광주시는 현재 심사 중인 878가구와 향후 접수될 이의신청 건에 대해서도 자치구와 협조해 최대한 신속하게 심사 작업을 진행하고 광주상생카드도 거동이 불편한 주민에 대해서는 동별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 교부하도록 하는 등 사업이 조기에 완료되도록 할 계획이다.
○ 이평형 시 복지건강국장은 “4·15총선과 코로나19 대응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치구와 동 공무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예상보다 훨씬 많은 52만여 신청가구에 대한 심사작업이 큰 차질없이 완료됐다”며 “시민들께 지원된 생계비가 착한 소비로 이어져 가계에도 보탬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