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 식품의약, 고용노동, 여성가족

경기도, 70세 이상 기후행동 기회소득 참여자 활동기준 낮추고 보상 높여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70
  • ○ 경기도, 시니어층 기후행동 기회소득 ‘걷기 리워드 기준’ 완화하여 고령층 참여 문턱 낮춰
  • ○ 노인복지관 찾아가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교육으로 참여 기회 확대

경기도가 9월 1일부터 만 70세 이상 시니어층의 기후행동 기회소득 걷기’ 활동 리워드 기준을 완화하고 금액을 상향 조정한다.

 

이번 개편은 이용자의 생일자 기준 해당 월 1일부터 적용되며걸음 수 준은 하루 8천 보에서 5천 보로 낮아진다리워드 금액은 하루 200원에서 300원으로월 최대한도는 4천 원에서 6천 원으로 확대된다.

 

일상생활 속에서 탄소 감축 활동을 실천한 참여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전용 앱(App)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만 7세 이상 경기도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지만고령층은 건강·체력·디지털 접근성 등의 이유로 참여 장벽이 높아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이에 경기도는 고령층 참여율이 가장 높은 걷기’ 활동의 기준을 완화하고 보상을 강화해 참여를 독려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는 기후행동 앱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어르신들을 위해 노인복지관 찾아가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교육사업을 추진 중이다탄소중립 실천 확산을 위해 활동하는 도민들로 구성된 탄소중립지원센터 도민추진단이 시군 노인종합복지관과 경로당을 방문해 기후변화·탄소중립 교육과 함께 앱 설치와 사용법을 안내한다.

 

이 교육은 올해 4월부터 시작해 7월 말까지 22개 시군의 94개 노인복지시설에서 총 178회 실시됐으며, 4,789명이 교육을 받았다그 결과 작년 말 기준 10%에 불과했던 60대 이상 참여 비율이 올해 7월에는 앱 가입자 수가 약 10만 명 늘어나 15%로 증가하는 성과로 이어졌다경기도는 9월에도 안양시·김포시·안산시 소재 노인복지관을 비롯해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변상기 경기도 기후환경정책과장은 이번 시니어층 걷기’ 활동 리워드 기준 완화와 노인복지관 찾아가는 교육사업이 디지털 취약 계층인 고령층의 여 문턱을 낮출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 세대 도민이 온실가스 감축 동에 참여해 기후위기 대응에 나설 수 있는 기회를 넓혀가겠다고 말했.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7 명
  • 오늘 방문자 145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0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