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 식품의약, 고용노동, 여성가족

에이(A)형간염 유행 원인 조개젓으로 확인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152

- 조개젓 안전성 확인시 까지 섭취 중단 권고

- 도내 조개젓 유통업체 전수조사 실시

전라북도 보건당국은 올해 전국적인 에이(A)간염의 발생 증가 및 유행의 주요 원인이 질병관리본부의 심층 역학조사 결과 오염된 조개젓을 확인하고,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조개젓 섭취를 중지해 줄 것을 권고했다.

 

 

2019년 전국 에이(A)형간염 신고건수는 15,189(‘19.9.21기준)으로 전년 동기간 1,887명 대비 약 8배 증가하였고, 30~40대가 전체 신고 환자의 73.4%를 차지하며 전북도도 올해 에이(A)형간염 신고건수는 429(‘19.9.21기준)으로 전년 동기간 126 대비 3.4배 증가했다.

 

그동안 우리도에서는 환자에 대한 격리치료비 지원과, 접촉자에 대한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안내하고 접종을 권고하였으며, 조개젓 섭취가 의심되는 사례에 대하여 해당업체의 조개젓을 수거해 검사한 바 있었다.

 

최근 질병관리본부는 2019년 에이(A)형간염 발생증가 원인에 대해 심층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에이(A)형간염 유행의 주요 원인이 조개젓임 확인 발표했다.

 

8월까지 확인된 에이(A)형간염 집단발생 26건 조사결과 21(80.7%)에서 조개젓 섭취가 확인되었고, 수거가 가능한 18건의 조개젓 검사결과 11(61.1%)에서 에이(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이중 유전자 분석을 시행한 5건은 환자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와 조개젓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유전자가 같은 근연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유전자형에 따라서 유전적 거리가 가까운 정도

 

이에 따라 도내 조개젓 유통업체도 27개소 41개 품목을 수거하여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도 보건당국은 올해 에이(A)형 간염 유행은 조개젓이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지만 환자와 접촉 후 추가 발생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 예방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에이(A)형간염 예방 및 전파 차단을 위해 도민들이 준수해야할 에이(A)형간염 예방수칙을 다음과 같이 권고했다.

 

1. A형간염 안전성 확인시까지 조개젓 섭취 중단 권고

2. 조개류 익혀먹기

3. 식사 준비 전후, 화장실 다녀온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4. 안전한 물 마시기

5.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6. A형간염 예방접종 권고(2주 이내에 환자와 접촉한 사람 및 고위험군* )

 

*B·C형간염환자, 간경변환자, 혈액응고질환자 등

 

아울러 오염된 조개젓 제품 정보(‘19. 9. 4.기준 4)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터넷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탈 (www.cdc.go.kr/npt)을 통해 A형간염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고 알렸다.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2 명
  • 오늘 방문자 142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0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