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당 대표, 기자 간담회 주요내용
장동혁 당 대표는 2025. 10. 2.(목) 10:00,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동혁 당 대표>
9월 소비자 물가가 2.1% 상승했다. 국민들께서 피부로 체감하는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다.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국내 기업들이 물고 있는 관세는 결국, 국내의 물가 상승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일부는 수입국의 물가 상승으로 전가된다고 하더라도, 전체를 다 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관세 인상분을 전가 시킬 수 없기 때문에, 국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하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것이다.
또 여러 가지 이유로 관세 협상이 잘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환율도 상승하고 있다. 환율 상승은 당연히 수입 원자재 가격이나, 수입 물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서 국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유가 불안, 그리고 최근에 발표된 걸 보면, 채권시장의 심리를 나타내는 채권시장 지표도 하락하고 있다. 모든 경제지표가 좋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관세 협상 불안 때문에, 물가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는 측면도 있지만, 또 하나는 현금살포확장재정 때문에 물가가 상승한다. 저희들은 현금을 살포할 때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반드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민주당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이재명 정부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결국, 물가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가 상승 없이 현금을 살포할 수 있다면, 어떤 정부, 세계 어느 나라, 어느 정부가 현금을 살포하지 않겠는가.
지금 민주당이 펴고 있는 에너지 정책, 탈원전 시즌 2, 결국, 전기료 상승으로 돌아올 것이다. 전기료 상승은 결국, 생활물가지수 상승으로 곧바로 연결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민주당이 관세 협상에 대해서, 나 몰라라 하고, 이제는 태세를 전환해서, 반미 감정만 선동하는 쪽으로 전략을 펴고 있다면, 경제 불안, 물가 상승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이렇게 물가 상승이 이어지면, 자산 가치는 상승하고 화폐 가치는 하락하게 된다. 결국,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더 심화되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