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회

달러 강세에도 수출기업 곡소리… 기업 한 곳당 순이익 40억원 감소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106

수출기업 수 전년 동기 대비 97곳 감소하고, 부채는 390억원씩 불어난 것으로 확인돼

한 의원, “금리 인상 속 기업들이 버틸 수 있는 실질적인 금융지원 방안 고민 필요해

 

올해 상반기말 수출기업(수출 매출액이 전체 50%를 초과하는 기업)수가 전년 동기 대비 97곳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2021·2분기 수출기업 부채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수출기업의 당기순이익은 기업마다 평균 40억원씩 감소했으며 부채는 390억원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말 상장기업 중 수출기업은 412개사였는데, 전년 동기(509)대비 19%(97)감소한 수치였다. 이 기간 한국은행의 분석대상인 상장기업 수는 2,420개사에서 2,398개사로 22곳 줄었는데, 이 중 수출기업은 97개사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수출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50%를 넘는 기업을 수출기업으로 분류해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수출기업의 수익성 역시 크게 악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한 곳당 평균 당기순이익은 235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398,000만원)급감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 역시 2634,000만원으로 10.6%(314,000만원) 줄었는데, 평균 매출액은 4,2799,000만원으로 5.27%(2143,000만원) 소폭 증가한 것과 대비되는 수치였다. 또한 올해 상반기말 기준 수출기업 한 곳당 평균 부채가 5,107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69,000만원 증가했다.

 

특히 이자보상배율 1미만인 한계기업의 평균 부채는 5,3449,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2,566억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2배 가까이 증가해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병도 의원은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은 이해가 되나 시간이 지나면 정상화될 수 있는 기업들이 버틸 수 있는 실질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정부의 긴축재정도 중요하지만, 부채를 버티지 못하고 수출기업들이 잇달아 문을 닫게 되는 상황은 피해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별첨: 참고자료1,2,3>

 

 

 

 

 

 

 

 

 

[참고자료 1] 수출기업 규모

 

분류

2021년 상반기

2022년 상반기

분석대상 상장기업

2,420

2,398

수출기업

509

412

 

출처: 한국은행

 

 

[참고자료 2] 수출기업당 평균실적

 

분류

2021년 상반기

2022년 상반기

평균 매출액

4,065.6억원

4,279.9억원

평균 영업이익

294.7억원

263.4억원

평균 당기순이익

275.5억원

235.7억원

 

출처: 한국은행

 

 

[참고자료 3] 수출기업당 평균 부채 규모

 

분류

2021년 상반기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1 명
  • 오늘 방문자 141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0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