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엑스코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 지역 교통난 해소와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 전망 -
대구 도시철도 엑스코선 건설 사업이 지난 22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자문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타당성조사를 받게 된다.
○ 엑스코선은 3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을 시작으로 2호선 범어네거리, 1호선 동대구역, 경북대학교, 엑스코, 금호워터폴리스, 이시아폴리스를 연결하는 총 연장 12.4km의 대규모 도시철도 건설 사업이다.
○ 기존 1·2·3호선과의 환승역을 포함하여 13개소의 정거장이 들어설 예정이며, 기존 3호선과 같은 모노레일 방식으로 총 사업비 7,169억원을 투자하여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 본 노선의 건설계획은 노선 주변으로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금호워터폴리스, 이시아폴리스 등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한 교통 혼잡과 대구 유일의 전시컨벤션 시설인 엑스코에 대한 대량수송 시스템이 부족하여 지역의 MICE산업 성장에도 한계가 있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MICE란 'Meet,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의 약자로 기업회의, 포상관광, 국제회의, 전시회 등을 총칭하는 산업
○ 또한, 지역주민들과 경북대학교, 영진전문대를 비롯한 노선 인근의 중·고등학교 학생 및 교직원들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하고 도시철도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지역 균형발전을 뒷받침할 사업계획이기도 하다.
○ 대구시는 엑스코선 건설사업에 대한 사전 타당성조사를 통해 투자되는 사업비에 비해 통행시간·교통사고·환경비용 절감 등의 편익이 커서 충분히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보고 국토부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신청서를 제출했다.
○ 이번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사업에 대해서는 기재부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해 내년에 최종 결과가 발표된다. 예타가 통과되면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절차 등을 거쳐 2022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23년에는 공사를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아울러, 엑스코선이 정부 재정사업으로 선정되면 총 사업비의 60%인 4,301억원을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어서 시 재정에 큰 도움이 되며, 침체된 지역의 건설경기 활성화는 물론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1조 6,050억원과 2만 3천여명의 고용 및 취업 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효과가 기대된다.
○ 엑스코선이 개통되면 도심 교통혼잡 해소와 시내버스, 도시철도 1·2·3호선과 환승체계를 구축해 대중교통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종합유통단지, 금호워터폴리스 등 지역의 주요 물류·산업단지와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엑스코 제2전시장 건립과 연계한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로 MICE 연관 산업(숙박, 외식, 쇼핑, 관광, 수송, 출판, 시설장치업 등)의 성장과 지역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권영진 대구시장은 “우리시의 도시철도 사각지대를 없애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위해서 북부지역과 동부지역을 연결하는 엑스코선과 3호선 연장선을 우선 추진하되, 구(舊) 시가지를 활성화할 수 있는 4호선 순환망도 트램 도입과 단계별 건설방안 등을 검토해 중장기 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며, “미래 도시공간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철도망을 구축해 녹색교통인 전기자동차와 도시철도가 대구시의 주 교통수단이 되도록 하겠다.”며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