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권으로 나아가는 강원형 바이오 협력지구”
“초광역권으로 나아가는 강원형 바이오 협력지구”
✓ 7.25.(목) 10:30~12:15, 강원연구원, 도지사ㆍ의장ㆍ시장ㆍ군수 등
✓ 바이오헬스 산업 생태계 구축방향 및 협력지구 발전전략 모색 등
✓ 인천, 대전과 삼각벨트 구축, 대한민국 바이오산업 이끌 것
강원특별자치도(이하 “도”)는 7. 25.(목), 강원연구원에서 강원 바이오 협력지구의 발전전략을 모색하는 “강원형 바이오헬스 협력지구 구축 발전 전략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 이 날 심포지엄은 1부 개회식과, 2부 심포지엄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 먼저, 개회식에는 김진태 지사를 비롯해 육동한 춘천시장, 신영재 홍천군수, 심재국 평창군수, 도내 지원기관, 혁신기관 등 주요 내빈들과 바이오헬스 산업의 비전 선포를 진행했고, 이후 바이오헬스 협력지구 조성 협력을 위한 협약식을 진행하였다.
□ 김진태 지사는 PPT로 강원 바이오헬스 협력지구 발전전략을 소개하며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을 이끌어 갈 의지를 비쳤다.
○ 강원 바이오산업의 현주소에 “도내에서 창업을 시작해 상장까지 성공한 바이오 회사가 6개로 비수도권 지역 최다이며, 춘천 바이오 매출은 3년 연속 1조 원을 돌파했다”며 소개했다.
○ 덧붙여, “우리 도는 바이오 30년 역사의 뿌리 깊은 혁신기관을 보유, 도와 지자체, 바이오 유관 기관과 기업들을 모두 총동원해 바이오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임을 밝히며,
○ “기업혁신파크, 글로벌혁신특구, 바이오특화단지로 강원 바이오 3종 세트가 마련되었고, 여기에 추가로 원주 디지털헬스, 강릉 천연물 바이오, 평창 그린바이오까지 +3이 더해져 강원형 바이오헬스 협력지구가 만들어지게 된다”며,
○ “앞으로는 강원에 안주하지 않고 초광역권으로 나아가 인천, 대전과 삼각벨트를 구축해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을 이끌어 나갈 계획”임을 전했다.
□ 이후 이어진 제2부 심포지엄에서는
○ 먼저, 김주선 KIST강릉분원장이 강원 천연물바이오 활성화에 대해 강연한 후, 바로 이어 박상용 강원연구원 분권·통상팀장이 강원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구축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 강연 이후에는, 다양한 바이오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강원 바이오협력지구 구축 및 강화 방안과 도의 바이오산업 발전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토의를 진행했다.
* 정연호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장(좌장), 허장현 강원TP원장,
김창혁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장, 양태진 서울대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황동훈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원장대행, 주동식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본부장,
장용기 홍천군 미래성장추진단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