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 환경, 기상

블루카본 기반 제주형 연안정비사업 전환 통해 탄소중립 실현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63

제주도,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식재로 탄소흡수·기후변화 대응 강화

❏제주특별자치도가 연안지역의 재해 예방과 기후위기 선제 대응을 위해 연안정비사업을 ‘블루카본’ 기반의 탄소중립형 모델로 전환한다.

 

❏제주도는 제주시 남원읍 신흥리 107-2번지 일원에 총 12억 8,000만 원을 투입해 제주형 연안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해양수산부의 「제3차(2020~2029) 연안정비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기존의 월파 피해 예방 중심에서 벗어나 탄소 흡수원이 되는 블루카본 생태계 조성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전환된다.

 

❏제주도는 올해부터 기존의 월파 피해 예방 등 재해예방과 2035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두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연안정비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했다.

 

❍세부적으로는 해안 월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주돌담을 이용한 파라펫 558m를 조성하고, 공유수면 일대에는 탄소흡수원인 순비기나무와 황근 등 염생식물을 식재한다. 이들 염생식물은 탄소 흡수 기능이 높아, 총 조성면적 1,087㎡에서 연간 약 114kgCO2eq의 온실가스를 흡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염생생물 1㎡ 당 0.105kgCO2eq 온실가스 흡수

- CO2eq(CO2환산량, Cabon Dioxide Equivalent):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

 

❍제주도는 지역 주민 의견 수렴을 이미 마쳤으며, 6월 말까지 행정절차를 완료한 뒤, 12월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연안지역 주택과 농경지의 침수 피해를 줄이는 것은 물론, 해양·연안의 탄소흡수 기능을 높이는 블루카본 거점이 형성될 전망이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앞으로의 연안정비사업은 블루카본을 기반으로 한 제주형 연안정비사업으로 추진해, 제주 연안의 탄소흡수 능력을 높이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환경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처| 064-710-3215 / 수산정책과

 

작성일| 2025-06-25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6 명
  • 오늘 방문자 184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4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