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광양항, 안전사고 4건 중 1건은 사망사고
- 최근 5년 간 항만사고 사망자 11명 중 6명 여수광양항에서 사망
최근 5년 간 여수광양항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4건 중 1건은 사망사고인 것으로 나타나 여수광양항에서 근무하는 항만근로자들의 재해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황주홍 위원장(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군)이 부산, 인천, 울산, 여수광양항만공사 등 4대 항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여수광양항은 5년 간 총 24건의 항만 안전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중 6건이 사망사고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4개 항만에서 발생한 전체 사망사고 11건의 절반을 넘는 수준이며, 전체 여수광양항 사고 대비 사망사건 비율은 25.0%에 달한다. 이는 부산 2.3%, 울산 0%, 인천 2.8%와 비교할 때 최대 10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이에 대해 여수광양항만공사 관계자는 ‘컨테이너 및 액체화물과 같이 규격화된 장치를 하역하는 화물보다 일반 벌크화물의 처리비중이 높은 상황이다’라고 원인을 분석했다.
황주홍 위원장은 “여수광양항의 경우, 2014년 이후 매년 1명 이상의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원인분석 및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복잡한 양태를 띄는 항만하역, 용역근로의 특성상 고용노동부의 표준화된 매뉴얼로 관장할 수 없는 항만근로자의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항만재해율이 전체 산업 평균의 2배라는 KMI(한국해양수산연수원)의 분석을 유념하여 해양수산부와 각 항만공사는 항만근로자의 맞춤형 안전관리 매뉴얼을 조속히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최근 5년간 4대 항만 사망사고 발생내역
항만 | 일시 | 장소 | 사고유형 | 사고내용 |
여수광양 | ‘14.12.27 | 컨부두3-2 | 추락 | 선박 라이싱 작업중 선원 추락 사고 |
‘15.1.28 | 컨부두3-1 | 기타 | Y/T와 에이프런 작업자 교통사고 | |
‘16.10.20 | 원료부두 | 추락 | 작업 준비 중 미끄러져 작동중인 콘베이어 위로 추락 | |
‘17.2.19 | 중마일반부두 | 추락 | 고철 작업 중 선원 해상 추락 | |
‘17.10.27 | 제품로로부두 | 협착 | 코일 운반차량 선박진입중 선원이 치여 사망 | |
‘1팔.8.29 | 낙포석탄부두 | 추락 | 사일로 컨베이어벨트 순찰 중 추락 | |
부산 | ‘14.5.28. | 신항 2부두 | 협착 | 졸음으로 전방을 확인하지 못하고 근로자가 협착 |
‘1팔.1.12. | 연합 철강부두 | 협착 | 갈고리가 걸려서 빼내기 위해 작업 구간에 들어가 코일과 코일 사이에 협착 | |
인천 | ‘13.2.17 10:00 | 6부두 64선석 | 기타 | 한국인1명 실종하여 수색했으나 실종자 발견 못함, 5/13, 16:05경 64 선석 사체 발견 |
‘14.03.29 08:10 | 1부두 13선석 | 협착 | 포크레인 하차작업 도중 운전자 | |
‘14.11.04 20:38 | 41선석 | 추락 | 상기일시 및 장소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
※ 최근 5년간(2014~2018.9) 4대 항만 안전사고 발생현황
[단위 : 건, %]
연도 | 경상 | 중상 | 사망 | 계 |
부산 | 74(85.1%) | 11(12.6%) | 2(2.3%) | 87 |
울산 | 54(83.1%) | 11(16.9%) | 0(0.0%) | 65 |
인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