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전자, 화학, 생명공학

경기도, 제조기업 경쟁력 향상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기술개발센터 설치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34
  • ○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제조 AI 솔루션 개발지원센터’ 공모사업 최종 선정
    • - 국비 100억 원 유치. 2029년까지 성남시 경기기업성장센터에 설치
  • ○ 글로벌 AI 솔루션 개발·제조기업 AI 전환 지원·인재 양성 등 AI 혁신 허브 역할 기대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제조기업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자체 개발·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한다고 15일 밝혔다.

 

AI 파운데이션 모델이란 대규모 데이터를 미리 학습시켜 다양한 목적의 인공지능 응용모델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게 하는 기초 인공지능 모델을 말한다기존에 개별 기업이 목적에 맞게 일일이 AI를 개발해야 했다면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손쉽게 맞춤형 AI 솔루션을 만들 수 있게 된다.

 

AI 솔루션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특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업무 효율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예를 들어 제조업에서는 제품 불량을 예측하거나설비 고장을 자동 감지하고생산계획을 자동 최적화하는 프로그램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앞서 도는 지난 8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제조 AI 솔루션 개발지원센터’ 공모에서 센터 구축 기관에 최종 선정된 바 있다.

 

제조 AI 솔루션 개발지원센터는 성남시 경기기업성장센터 4층에 들어서며, 2029년 12월까지 약 5년간 국비 100억 원 등 총 151.4억 원이 투입된다사업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주관하고 카이스트(KAIST)가 참여한다.

 

제조 AI 솔루션 개발지원센터는 도내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고품질로 수집·학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AI 파운데이션 모델 및 산업 맞춤형 솔루션 개발을 지원하는 허브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최신 GPU 인프라를 구축해 대규모 인공지능(AI) 학습과 모델 검증을 지원하고생산·품질·설비관리 등 제조업 특화 알고리즘과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중소 제조기업도 손쉽게 AI 기술을 도입할 수 있게 돕는다.

 

이와 함께 센터에서는 제조 현장 인력을 대상으로 한 AI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산업 현장의 기술 인력난을 해소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조 데이터 기반 AI가 결함과 이상을 사전에 예측해 불량률과 재작업률을 줄이고 납기 준수율을 높이는 등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것으로 보인다또한중소기업이 고가의 GPU 장비와 AI 개발 도구를 공공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어, AI 전환 초기비용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는 이번 사업을 중심으로 로봇자율주행차 등 물리적으로 작동하는 피지컬 AI 산업 육성’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현재 판교시흥하남의정부부천에 AI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으며성남 일반산단에는 국내 최초 지자체 주도 피지컬 AI ’ 개소를 앞두고 있다.

 

이 밖에도 도는 AI 대학원 연구 활동 지원빅테크 기업 연계 인력 양성 과정, AI 리터러시(문해력교육 등을 통해 매년 2,100명의 AI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경기도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심장부로피지컬 AI 산업 육성과 제조 AI 개발지원이 가장 절실한 지역이라며 이번 센터 유치를 통해 중소 제조기업의 AI 전환을 가속화하고, AI 대전환 시대 속 세계시장을 선도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주관 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센터 개소 전 설명회와 상담 창구를 통해 참여 기업을 모집할 계획으로경기도 AI 제조기업이라면 누구나 전화상담(031-759-8127)을 신청할 수 있다.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8 명
  • 오늘 방문자 140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0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