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개발특구“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100억원 지원”
발굴‧연계-사업화 역량강화-창업 및 성장지원 전주기 종합지원
道, 국비사업 이외에 지방비 추가 투입해 적극 육성에 나서
□ 전라북도와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는 15일 전북특구 내 공공기술 사업화 및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2021년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 올해 전북특구 육성사업은 약 100억원 규모로 ’기술발굴·연계(유망기술 발굴, 이전·출자)–기술사업화 역량강화(상용화/제품화 과제 지원)–기술창업 및 성장지원(투자유치, 판로개척 등)‘의 기술사업화 전주기를 종합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추진될 예정이다.
□ 먼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한 공공기술을 찾아서 수요기업에 연계하는 ‘기술발굴·연계’ 사업이 추진된다.
○ 특구내 공공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전문(연) 등)과 협력하여 사업화 유망기술 상시 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비즈니스모델(BM) 제작 등 기술마케팅을 통해 기술이전 및 연구소기업 설립을 지원한다.
○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북특구 지정 이후 기술이전은 336건, 연구소기업 142개 사가 설립되었다.
□ 이와 함께, 공공기술을 이전·출자받은 기업이 제품개발, 양산화를 통해 매출·고용과 같은 실질적 사업성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 역량강화(R&BD) 20여개 과제를 55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특구 고유의 혁신기업 모델인 연구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아이디어 발굴 → 창업 →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기업창업 및 성장지원’ 사업도 추진된다.
○ 연구소기업은 준비 단계부터 설립을 적극적으로 돕고, 자립·자생이 가능하도록 성장단계별 프로그램(기업진단, 멘토링, 시장진입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 창업아이템 발굴, 검증 등을 지원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을 통해 특구 내 대학을 거점으로 하는 창업을 가속화하고,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탈(VC) 등과 협력하여 특구기업의 투자유치도 적극 지원한다.
○ 아울러, 특구 내 전통 제조기업의 신사업 전환 유도를 지원하고, 기술이전 경험이 있는 기업의 후속성장을 위해 기술컨설팅, 사업전략 분석, 판로개척 등 성장지원 프로그램도 추진할 예정이다.
□ 그간 전라북도와 전북특구본부는 공공연구성과 활용을 촉진하고, 혁신기술 기반 중소·중견기업을 육성을 위해 공동으로 특구 육성사업을 추진해왔다.
○ 전북도는 전북특구 육성을 위해 국비사업 이외에 추가적으로 지방비를 활용한 각종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각각의 사업에 대해서는 일정에 따라 사업공고가 진행될 예정이다.
□ 전라북도 전병순 혁신성장산업국장은 “전북특구의 지속적인 육성지원을 통한 기술창업 활성화 및 생태계 구축으로 전북특구가 지역혁신 성장을 선도하는 지역 新산업 거점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전북특구본부 서동경 본부장은 “전북특구 내외의 혁신자원을 적극 연계·활용하고 사업화기업의 성장지원을 강화하여 사업화 성과를 속도감있게 창출하겠다”며 “전북도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기술 기업들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전북특구 육성사업 신청・접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및 특구재단(www.innopolis.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전북특구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 전북특구본부 담당자 연락처 : 063-905-975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