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 수산해양, 산림

국내 양식산 연어로 첫 인공 채란 성공!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1

환동해지역본부 수산자원연구원 생산과  054-730-1132   2025-11  

 

 - 경북 수산자원연구원, 국내산 연어 완전양식 길 열려! -

이에 2020년부터 해수부, 광역단체 연구기관 및 일부 민간양어장에서 수입산 연어를 국내산 양식 연어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재생산이 불가능한 대서양연어 수정란(3배체 또는 전암컷 등)을 이식하기 때문에 양식을 위해 수정란을 계속 수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 국내 연어 수입 동향(자료출처 : 수산정보포털, http://fips.go.kr)
∙ 2만 5천톤(2014)→2만 7천톤(2016)→3만8천톤(2018)→4만2천톤(2020)→7만6천톤(2022)→4만6천톤(2024)

연구원은 우리나라에 산란을 위해 회유하고, 수정란을 수입할 필요 없는 연어 양식을 산업화하기 위해 2022년 민물고기연구센터에서 국내 하천에 회유한 연어로부터 생산한 어린 연어(전장 5cm, 체중 1g급)를 확보해 담수 사육 후 점진적으로 해수에 적응시켜 관리했다.

또한, 2023년에는 냉수성 어류인 연어를 여름철 고수온기에도 사육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을 구축해 올해 전장 60cm, 체중 2.5kg 정도의 성어로 성장시켰으며, 지난 10월부터는 인공 채란을 위해 적정 먹이, 사육 수온과 광주기를 조절해 성숙을 유도한 결과, 현재까지 국내에서 처음으로 암컷 10마리에서 성숙란을 얻어 수정 후 관리하고 있다.

앞으로 연구원에서 국내 양식산 연어 사육 및 번식기술을 규모화하고, 여름 고수온기 연어가 생존할 수 있는 사육 수온(20℃ 이하)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순환여과 양식시스템과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한 방법 등 국내에서 연어 양식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다른 연구기관과 차별화해 우리 해역에 적합한 연어 양식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현재 포항에 공사 중인 ‘연어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를 건립해 연어 양식, 가공, 유통 등의 핵심 기반시설 구축으로 경상북도가 명실상부한 국내 연어 산업의 중심지가 되도록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5 명
  • 오늘 방문자 139 명
  • 어제 방문자 364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6,00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