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원자력, 원자력안전위

전북도, 수질전문가와 머리 맞대고 새만금 수질개선 방안 논의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162

새만금수질관리 문제점 진단 및 보완방안 제안

수질 평가시, 상류하천에 줄어든 유량 고려해야

상류하천에 줄어든 유량의 회복과 정체수역 관리 필요

12월까지 수질개선효과 등 세부사항 검토 후 정부 대책으로 건의

새만금 2단계 수질대책 추진사항 및 수질관리 문제점 진단과 대안마련을 위한 6차 새만금수질관리 전문가 회의 개최

 

24일 전북도는 전북연구원 회의실에서 전북대학교 김현수 교수 등10명의 수질관리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제6차 새만금 수질관리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다.

 

새만금 수질관리 전문가 회의는 전북도에서 새만금 수질관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올 3월부터 내년까지 운영하는 수질분야 전문가그룹 회의로 교수, 연구원, 엔지니어 등 전국의 수질, 수처리 분야 전문가 1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수질관리 문제점 진단 결과, 상류하천에 줄어든 유량 회복과 정체수역의 수질관리 보완 등이 필요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5차례의 새만금 수질관리 전문가 회의를 통해 수질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한 결과

상류하천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사용량이 늘고 있는 반면에 용담댐 등에서 공급되는 물량이 2014년부터 계속 줄어 상류 수질대책의 성과가 수질에 반영되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있어

정부의 새만금 2단계 수질개선대책 종합평가에서 하천에 줄어든 물량 회복과 농업배수관리 및 환경기초시설의 효율적 운영, 정체수역 수질관리 보완책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수질관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사업으로 환경기초시설 운영관리시스템 개선 등을 제안

 

금번 회의에서 그동안 수질관리 전문가 회의에서 발제하고 제안된 연구 및 수질개선사업의 새만금유역 적용 가능성을 논의한 결과

기존 환경처리시설의 운영관리시스템 개선 등 7개 사업과 농업용수 관련 연구가 새만금유역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새만금 수질관리 문제점 보완을 위해 제안된 사업 (7)

 

- 기존 환경처리시설의 운영관리시스템 개선 / - 가축분뇨 처리 확대

- 새만금호 내부공사완료 후 우심지역 퇴적물 준설 / - 농업비점저감 확대

- 전주천 등에 TOC*(총유기탄소) 저감대책 추진 / - 정체수역 수질관리

- 하천의 좋은물 확보를 통한 수질개선

* TOC(Total organic carbon, 총유기탄소) : 물 속에 포함된 유기탄소의 총량, UV(자외선)로 고온 연소하여 측정

신규사업은 12월까지 수질개선효과 등 세부사항에 대한 검토를 거쳐 정부 수질개선대책으로 건의할 계획

 

전북도는 금번에 발굴된 7건의 수질개선사업은 12월까지 수질개선효과 등 세부사항 검토를 거쳐 환경부에 정부 대책으로 반영해 줄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8 명
  • 오늘 방문자 140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0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