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원자력, 원자력안전위

제주 농업용수 수질 15년간 안정 유지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53

질산성질소·염소 농도 모두 기준치 이하…지속 모니터링 강화

□ 제주지역 농업용수 수질이 15년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오염지표인 질산성질소 농도가 법정 기준치의 22% 수준으로 양호한 수질 상태를 보이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친환경농어업법」제11조에 따라 시행 중인 농업용수 수질 변동조사에서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 올해 조사 결과, 주요 수질지표인 질산성질소 농도는 평균 4.4㎎/L로 기준치(20㎎/L 이하)를 크게 밑돌았다. 염소 농도는 19.1㎎/L(기준치 250㎎/L 이하), 수소이온농도(pH)는 7.9(기준치 6.0~8.5)로 모두 법정 기준을 충족했다.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 농업기술원은 2010년부터 도내 40개 지점을 대상으로 연 2회(4월, 7월) 농업용수 수질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조사는 동·서·남·북 4개 권역*으로 구분해 진행되며, 질산성질소(NO3-N), 염소(Cl-), 수소이온농도(pH) 등 법정기준 6개 항목과 전기전도도(EC), 총 질소(T-N) 등 기타 8개 항목을 분석한다.

* 4개 권역: (동부) 구좌, 성산, 표선 / (서부) 한림, 한경, 대정

(남부) 안덕, 서귀포 동지역, 남원 / (북부) 애월, 제주시 동지역, 조천

 

○ 시기별로는 7월이 4월보다 질산성질소 농도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염소와 수소이온농도(pH)는 차이가 없었다.

 

○ 권역별로는 서부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가 6.6㎎/L로 다소 높았고, 동부지역의 염소 농도가 35.8㎎/L로 다른 권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두 법적 기준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었다.

* 권역별 질산성질소 농도(㎎/L): 동부 4.0 서부 6.6 남부 2.2 북부 2.0

* 권역별 염소 농도(㎎/L): 동부 35.8 서부 22.5 남부 9.0 북부 9.2

 

□ 장기 분석에서도 안정성이 확인됐다. 최근 15년(2010~2025) 간 질산성질소 평균 농도는 4.4~5.1㎎/L 범위에서 큰 변화없이 유지됐다. 원예작물이 집중된 서부지역도 2010년 7.0㎎/L에서 2025년 6.6㎎/L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 조사 결과는 국가 농업환경정보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돼 농업용수 수질 변화 예측 및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 고윤정 농업연구사는 “집중호우와 이상기상, 탄소저감 농업 확대 등 농업 여건 변화 속에서 농업용수 수질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합리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064-760-7514 / 농업기술원  2025-09-29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8 명
  • 오늘 방문자 121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18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