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원자력, 원자력안전위

1. 방사능폐기물 저장고 5곳 중 3곳 내진설계 미반영

임보환 편집인 multiis… 0 130

- 대전광역시, 방사성폐기물량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아

- 방사성폐기물 이송대책 마련 시급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주승용 국회부의장(바른미래당, 여수을)22, 대전광역시(이하대전시’) 국정감사에서 대전시에는 방사성폐기물량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대책이 미흡해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방사성폐기물은 핵에너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방사성물질이다. 방사능 함유량이 높은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작업도중에 사용된 작업복, 장갑, 부품 등 방사능 함유량이 미미하게 남아있는 ·저준위 방사성폐기물로 분류된다.

 

대전시에는 원자력 관련 기관이 4,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수원중앙연구원이 있다. 그 중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 종합연구개발 기관으로 학술연구, 에너지 확보, 원자력 이용 연구를 맡고 있으며, 다량의 방사성폐기물을 보관중이다.

 

최근 원자력연구원은 지역사회와 환경단체의 반발로 ·저준위 방사성폐기물2030년까지 경주에 있는 방사성폐기물장으로 모두 이송하기로 하였으나 계획이 중단되었고,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경우에는 더 이상 이송계획에 대한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원자력연구원로부터 제출받은 <폐기물 저장시설 내진설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저장고 5곳 중 3곳은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부의장은 방사성폐기물 이송 문제 해결과 보관하고 있는 곳이 내진설계도 되어 있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대전 시민들은 하루하루 불안에 떨고 있는데, 대전시는 관련 기관들과 협의해 적절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시는 불안한 시민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헤아려야 한다.”, “대전시의 책임감 있는 적극적인 행동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7 명
  • 오늘 방문자 143 명
  • 어제 방문자 359 명
  • 최대 방문자 1,627 명
  • 전체 방문자 205,20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